올해 글로벌 수소차 판매량 1만대 돌파···현대차 1위 지켜

신차 미라이 2세대 내세운 도요타가 2위 차지해 현대차와 양강 구도 유지하면서 시장 성장 견인 정부 수소차 충전시설 확충 등 인프라 구축 박차

2021-09-03     조선미 기자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쏘. (사진=현대차)

[이넷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회복 중인 글로벌 경제와 함께 수소차가 슬슬 시동을 걸고 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의 판매량이 2배 이상 뛰며 1만 대를 돌파한 것.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7개월간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차의 총 판매대수는 약 1만3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9.1% 증가했다. 지난해 수소차의 연간 판매량은 1만 대에 미치지 못했다.

업체별로는 현대자동차가 시장 점유율 51.2%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월 출시된 넥쏘(1세대)의 판매 호조 덕분이다. 넥쏘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3.9% 증가했다. 현대차는 올해 초 일본의 도요타에게 빼앗겼던 1위 자리를 2분기에 되찾은 뒤 계속 지키고 있다.

현대차와 글로벌 수소차 시장을 이끌고 있는 도요타는 2위를 차지했다. 도요타는 미라이 2세대를 내세워 시장 점유율을 40%대로 높이며 선전했다.

올해 상반기는 도요타의 미라이 2세대 새 모델과 현대차의 넥쏘 2021년형 모델이 전체 수소차 시장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현대차와 도요타 모두 신차를 선보이며 시장 내 영향력을 높였다는 평가다.

반면 3위를 차지한 혼다는 판매량이 소폭 오른 데 그쳐 점유율이 1%대로 떨어졌다. 현대차와 도요타의 양강 구도가 한동안 지속되는 가운데 향후 시장에서 혼다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도요타 맹추격으로 ‘수소차 왕좌’ 지키려면 긴장해야

현대차 역시 ‘수소차 왕좌’를 지키기 위해서는 바짝 긴장해야 한다. 시장 점유율이 70%에 달하던 지난해와 달리 도요타가 무서운 속도로 따라오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도요타의 미라이 2세대 신모델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7배 급증했다.

SNE리서치는 올해 도요타가 맹추격을 하고 있어 현대차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 전략 정비, 추가적인 신모델 연구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대로 전략을 세워 준비하지 않으면 지난 1분기때처럼 언제든지 1위 자리를 빼앗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는 수소차 관련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시장의 발전이 더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수소차 숫자 늘리기에는 성공했지만 충전 시설이 차량 보급 속도를 따라오고 있지 못해서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소 충전소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70기였던 충전소는 올해 6월 기준 110기로 늘었다. 정부는 연말까지 180기, 내년까지 310기의 충전소를 짓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무공해차 보급 확대와 충전시설 구축을 위한 예산 투자 규모도 늘렸다. 환경부는 2022년도 예산과 기금안의 총 지출을 11조 7,9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 중 2050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에 약 5조원을 투자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내년도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사업에는 지난해보다 두 배 가량 예산을 확대, 총 8,92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인천공항 수소 충전소 전경. (사진=인천공항공사)

◇ 내년 수소차 2만8000대, 전기차 20만7000대 목표

정부는 내년에 수소차 2만 8000대, 전기차 20만 7000대를 보급해 2025년까지 무공해차 133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기·수소차 충전 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 주유소만큼 편리한 충전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내연기관차를 줄이는 방안도 적극 추진한다. 2024년까지 노후경유차 5등급 차량을 완전 퇴출하기 위해 조기폐차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매연 저감장치(DPF) 부착 지원은 축소했다.

2022년 노후경유자 조기폐차 지원은 지난해보다 2만대 증가한 36만대, DPF부착은 약 6만대 감소한 3만5,000대를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수소충전소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모든 수소충전소 운영상황을 24시간 실시간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수소안전관리 종합대책’ 중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사업비로 총 17억원이 투입됐다.

시스템은 충전소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가스누출검지기 등 충전소 핵심 설비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살핀다.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상황실 화면에 경고알림을 보내 충전소 안전관리자와 한국가스안전공사 근무자에게 비상문자를 발송하도록 돼 있다.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정부는 안전에 기반한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해 수소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며, 수소법을 제정해 내년 2월부터 안전분야 시행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소 충전소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수소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비롯해 사업자 자체점검 장비 지원, 사전 안전성 평가 도입 등 예산 지원 및 제도 개선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넷뉴스=조선미 기자] sun@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