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보급확산 나서는 정부···인프라 구축 박차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서 밝혀 소비자 우려 불식 위해 기업의 자율적 리콜 등 안전확보 노력 촉구 화재대응·결함조사 역량도 제고 등
[이넷뉴스]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확산을 위한 안전기반 확립에 나선다.
전체 등록 자동차 대비 전기·수소차의 보급비율이 2017년 0.11%에서 2020년 0.6%로 약 6배 가까이 급증했다. 친환경차 보조금·충전인프라 확충 등 정책적 지원과 함께 다양한 전기차 신규 출시로 전기·수소차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전기·수소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화재특성에 따른 위험성도 존재하고 있다. 고전압 배터리에는 고인화성 물질이 포함돼 충격이나 결함으로 인한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완전 연소 시까지 화학반응이 지속된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최근 핵심 부품인 고전압 배터리 결함에 대한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수소차 역시 예외는 아니다. 수소차는 가연성이 높은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수소가 적절히 차단, 배출되지 않으면 화재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친환경차 안전 기반 마련이라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 친환경차 보급 환경 조성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월 1일(목)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하고 친환경차 보급확산을 위한 안전기반 확립 방안에 대해 밝혔다.
홍 부총리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충전 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이 이어지면서 안전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친환경차 안전기반을 확립하고 소비자 우려 불식을 위해 기업의 자율적 리콜 등 안전확보 노력과 함께 정부차원의 안전성 제고방안을 마련헀다”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항목을 7개에서 11개로 확대하고, 충돌 안전성 평가대상에 전기차 4종을 추가한다. 또한, 수소버스 제작·안전기준을 신성하는 등 차량 안전성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 친환경차 관련 인프라 확충
화재대응·결함조사 역량도 제고한다. 새로운 유형의 차량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대응기술·장비개발을 2022년까지 마치고, 일반 내연기관차 중심인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친환경차 결함조사 시설·장비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또한, 친환경차 정비인프라와 인력 확대 등을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천 3백 개 확충한다. 자동차학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수소차 검사소도 2022년까지 23개소로 늘린다.
전기차 충전설비 안전성 제고에도 나선다. 충전설비 설치 시 전기안전공사 안전점검을 의무화하고 점검항목과 이력 등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