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삼성전자-에너지기술연구원, 어깨동무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공동 노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지난해 9월 발표한 ‘신(新)환경경영전략’ 실천 위한 노력의 일환
이넷뉴스 = 삼성전자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탄소중립을 위해 협력한다.
10일 삼성전자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공동 노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신(新)환경경영전략’을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삼성전자는 기후위기 대응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에 있어 재생에너지 관련 연구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재생에너지 통합 솔루션 개발 협력을 통해 상호 지속가능한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협약을 통해 다양한 에너지원을 혼합해 사용하는 에너지 믹스 기술을 개발하고 재생 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과 같은 재생 전기 에너지뿐 아니라 태양열, 지열, 수열 및 폐열과 같은 재생 열 에너지도 함께 활용한다.
삼성전자 사업장의 소비 에너지 중 20~40%는 열로 소비되고 있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가 유기적으로 결합돼 운영되어야만 전력 수급 균형과 공급 유연성이 확대돼 사업장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원 혹은 시스템 사이를 조화롭게 연계시키는 ‘섹터 커플링’ 기술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의 활용 효율을 개선하는 에너지 믹스 시스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글로벌 EHS센터장 김경진 부사장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 기술협력을 통해 사업장별 특성에 맞는 고효율의 재생에너지 통합 시스템 설계 능력 확보를 기대한다. 발전량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및 관련 기술의 개발을 통해 기후 위기 극복에 이바지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1월 삼성전자는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반도체 사업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체계를 구축하고 제3자 검증을 완료한 바 있다.
전과정평가는 원료의 채취와 가공, 제품의 제조·운송·사용·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투입되는 물질과 에너지,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산출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이 중 반도체 제조사가 통제 가능한 범위인 원재료 수급 단계부터 제품의 생산·패키징·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삼성전자는 작년 말 국제표준에 의거해 전과정평가 체계를 완성했으며, 글로벌 에너지·환경 전문 인증 기관인 DNV의 검증도 마쳤다.
이넷뉴스 = 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