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글로벌 열풍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국내기업 역할 커"
전경련, 한류 확산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이넷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11명을 대상으로 한류(韓流) 확산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과반(58.2%)은 한류가 시작된 2000년대 초에 비해 2023년 현재 한류의 글로벌 입지와 영향력이 40배 이상 커졌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배 이상이라는 응답이 43.9%, 40∼50배 응답이 14.3%로 나타났다. 30∼40배 커졌다는 응답은 12.3%였으며, 20∼30배(7.6%), 10배∼20배(12.9%), 1∼10배(9.0%) 등으로 집계됐다.
국민들은 한류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유튜브‧넷플릭스 등 유통 플랫폼의 발전 및 다양화(34.2%)를 가장 많이 꼽았다.
발달된 문화콘텐츠 산업 시스템과 기업의 적극적 투자‧홍보(28.2%), 신선하고 흥미로운 아이디어와 이를 활용한 질 높은 콘텐츠(21.0%), 한국 문화에 대한 글로벌 관심의 증가(12.2%)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민들은 한류가 글로벌 열풍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국내 기업들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들의 기여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크게 기여함이 25.1%, 상당부분 기여함은 38.2%로 나타났다.
국민 대부분은 한류의 확산이 우리나라의 국격과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류로 한국과 한국인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58.8%), 대체로 그렇다(30.7%) 순으로 나타났다.
한류가 국가경제에 기여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콘텐츠 기업과 유통 플랫폼이 의욕을 가지고 경영과 창작에 매진할 수 있도록 사기를 북돋아 주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경련이 준조세 부담 현황을 조사한 결과, 광의의 준조세는 2021년 기준 전년 대비 7.7% 증가해 최근 5년간 가장 많이 늘어났으며, 주요 원인은 4대 보험료, 특히 건강보험료의 증가로 나타났다.
2017~2021년 준조세 증가 추이를 조사한 결과, 광의의 준조세는 2017년 138.6조 원에서 2021년 181.1조 원으로 약 30.7%, 협의의 준조세는 2017년 58.3조 원에서 2021년 77.1조 원으로 약 32.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기간 한국의 GDP가 12.9%(2017년 1,835.7조 원→2021년 2,071.7조 원, 명목 기준) 성장한 것에 비해 준조세 증가율이 높았다. 광의의 준조세 상승률은 연도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상회했다.
이넷뉴스 = 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