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포스코케미칼·LG화학 뒤이어
화학 상장기업의 브랜드 빅데이터 74,808,815개 분석
[이넷뉴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4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에코프로 2위 포스코케미칼 3위 LG화학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화학 상장기업 95개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2023년 3월 7일부터 2023년 4월 7일까지의 95개 화학 상장기업의 브랜드 빅데이터 74,808,815개를 분석했다. 지난 3월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9,279,120개와 비교하면 26.20%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시장평가, 사회가치활동으로 측정된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3년 4월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 LG화학, 금양, 이수화학, 코스모화학, 한화솔루션, 코스모신소재, 롯데케미칼, 에코프로에이치엔, 나노신소재, SKC, OCI, SK케미칼, 후성, 효성화학, 금호석유, 효성첨단소재, 남해화학, 한농화성, 대한유화, 코오롱인더스트리, 롯데정밀화학, 코오롱플라스틱, 태광산업, 석경에이티, 레이크머티리얼즈, 파미셀, 한솔케미칼, 켐트로스 순으로 분석됐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에코프로 브랜드는 참여지수 2,666,366 미디어지수 2,615,529 소통지수 1,572,210 커뮤니티지수 2,910,531 시장지수 727,37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492,015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6,498,904와 비교해보면 61.44% 상승했다.
2위, 포스코케미칼 브랜드는 참여지수 961,888 미디어지수 2,572,263 소통지수 657,229 커뮤니티지수 977,816 시장지수 1,165,43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334,627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5,691,316과 비교해보면 11.30% 상승했다.
3위, LG화학 브랜드는 참여지수 156,928 미디어지수 1,048,607 소통지수 755,301 커뮤니티지수 1,360,580 시장지수 2,814,85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136,272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5,016,165와 비교해보면 22.33% 상승했다.
4위, 금양 브랜드는 참여지수 1,068,056 미디어지수 2,574,592 소통지수 729,977 커뮤니티지수 1,133,447 시장지수 252,81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758,889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3,012,475와 비교해보면 91.17% 상승했다.
5위, 이수화학 브랜드는 참여지수 821,472 미디어지수 1,967,066 소통지수 472,014 커뮤니티지수 596,907 시장지수 79,70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937,163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806,450과 비교해보면 117.95%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4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에코프로 ( 대표 송호준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브랜드소비 67.02% 상승, 브랜드이슈 39.62% 상승, 브랜드소통 24.54% 상승, 브랜드확산 6.69% 상승, 브랜드시장 13.73%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3위에 오른 LG화학은 지난 4일 제미글로 기반의 신규 당뇨 복합제인 ‘제미다파정(제미다파)’을 오는 8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제미다파는 DPP-4억제제 및 SGLT-2억제제 시장 선두 제품인 제미글로(성분명 제미글립틴)와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을 하나로 합친 개량신약이다. 각 계열 내 대표적 성분의 조합이라는 점에서 유용한 병용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보인다.
LG화학 만성질환사업부장 황인철 상무는 “인슐린 생성 촉진을 돕는 DPP-4억제제와 당을 체외로 배출하는 SGLT-2억제제 병용은 상호보완적 치료 효과를 낸다. 국내 환자 대상 대규모 임상적 근거 확보 등 제미다파만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1조 원 규모 국내 당뇨시장을 지속 선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넷뉴스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