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금융의 사회적 책임 실천 앞장서야” 강조
그룹 및 관계사 임원 참석한 그룹임원간담회 개최
[이넷뉴스] 하나은행 함영주 회장이 ‘금융의 사회적 책임’ 실천에 앞장설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27일 하나금융그룹은 서울시 중구 하나은행 본점 6층 강당에서 함영주 회장의 취임 1주년을 맞아 그룹 및 관계사 임원이 참석한 그룹임원간담회를 개최했다.
함 회장은 고금리,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많은 개인 및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업은 함께 살아가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이들의 고충과 아픔에 얼마나 공감하고 어떻게 배려했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40년의 역사를 지닌 실리콘밸리은행(SVB)이 단 36시간 만에 파산하는 것을 지켜보며 그 원인은 금융업의 본질인 신뢰를 잃어버린 것이 결정적인 이유라고 짚었다.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금융회사의 말로가 명확한 것처럼 금융업이 소비자과 사회의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함 회장은 신뢰받는 하나금융그룹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와 능동적으로 소통하고 손님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그리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먼저 사회에 더 많은 기회와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회구성원이 상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고금리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비자들을 위해 ▲금융상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이자와 수수료 결정체계의 원점 재검토 ▲감면 요구권 확대 및 수용 ▲정확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선제적 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의 재기와 성장을 위해서도 자금 공급 및 디지털 전환, 사업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가자고 말했다.
또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룹의 100호 어린이집 건립 프로젝트’부터 난임 치료 지원 등 출산에서부터 육아, 교육, 결혼, 주거마련, 실버 케어까지 생애주기 전체를 아우르는 맞춤형 상품개발과 금융 지원을 통해 하나금융그룹의 진심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함 회장은 이 모든 것들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우리 그룹 내부의 변화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과보상체계가 실질적인 성과와 잘 연동되고 있는지, 경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책임의식이 명확하게 확립돼 있는지, 내부통제 측면에서 교육 및 프로세스 등의 개선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것.
함영주 회장은 간담회에 참석한 모든 임원들에게 “하나금융그룹이 손님 더 나아가 사회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새롭게 거듭날 수 있도록 내가 먼저 앞장서겠다“우리 모두가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지속가능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하나금융그룹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힘차게 포부를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은 지난 21일 지난해 11월 오픈한 개방형 수장고인 ‘H.art1(하트원)’과 연계한 신탁 신상품인 미술품 동산관리처분신탁(미술품 신탁)을 출시했다고 밝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미술품 신탁은 하나은행이 을지로 도심에 문을 연 개방형 수장고 ‘H.art1(하트원)’에서 2월 최영욱 작가전(展)을 개최했을 때 전시기간 동안 파악된 작품 구매 수요를 신탁과 연결해 미술품을 보관하다가 처분하는 상품이다.
‘신(新)미술품 유통 비즈니스 모델’로, 하나은행은 이를 통해 선도적인 맞춤형 아트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